구분 | 교육과목 | 강의 주요 내용 |
1주차 | 수강생소개 및 기후변화 일반 | 수강생 및 Online 수강방법 소개 프로그램 소개 및 국내 녹색관련 자격증 추진동향/전망 (2h) |
기후변화 일반 | 기후변화 협약 및 교토메커니즘 (2h) | |
2주차 | 탄소 시장 일반 | 에너지 및 탄소시장의 전반적인 이해 |
배출권거래제도 이론적/법적/제도적 이해 | ||
3주차 | CDM/외부사업 | CDM 이론/실무 (1h) 외부사업 이롬/실무(1h) |
온실가스 배출량 심사 | M&R 가이드라인 설정/추가성 입증, 온실가스 배출량 심사원칙/절차(2h) | |
4주차 | 국내 온실가스 감축 정책 및 기술 | 국가 온실가스 감축 정책 & 국내 배출권거래제 개요 (2h) |
국내외 온실가스 감축기술 (2h) | ||
5주차 | 배출권거래제 운영 현황 및 사례 | 배출권거래제 설계/할당방법(1h) 옵셋 제도(1h) |
해외 배출권거래제 운영사례 분석(2h) ∘ 유럽, 미국, 일본 사례 분석 | ||
6주차 | 배출권비용 및 가격 | 배출권의 한계저감 비용 산정 (1h) 배출권거래 의사결정 process (1h) |
배출권 가격 형성, 동향 및 전망 (2h) 배출권의 경제적측면을 중심으로 | ||
7주차 | 배출권거래 현황 및 실무 | 배출권 등록소 및 거래 운영 시스템 파악 (2h) |
배출권 거래 실무 및 ERPA 작성 (2h) | ||
8주차 | 탄소금융시장의 이해/국제동향과 발전방향 | 탄소 금융의 개념과 사업기회 탄소금융의 국제동향과 시사점 |
탄소금융의 국내 현황과 문제점 향후 탄소금융의 발전방향 | ||
9주차 | 탄소금융 및 탄소 배출권 투자 전략 | 탄소 금융 상품 소개(2h) ∘ 국내·외 탄소펀드 사례 분석 등 |
탄소배출권 사업투자전략(1h) 탄소배출권 투자 포트폴리오구성(1h) | ||
10주차 | 고급평가 및 정보교류 네트워킹 | 시험대비 특강(3h) |
정보교류 및 교육생간 네트워킹(1h)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