탄소배출권거래중개사 

교육 목적 
국내 배출권거래제 시행에 따른 탄소배출권거래 전문인력 양성

교육 대상
▷ 일반기업, 관공서 담당부서 실무자 및 부서장
▷ 일반인, 대학생(대학원생)
▷ 탄소배출권거래중개사에 관심있는 분

프로그램 특징
▷ 현재까지 총 19회, 약 1,000여명 교육 실시
▷ 탄소배출권 거래에 대한 이론과 실무경험이 풍부한 최고 기후변화 강사진을 통한 전문 지식 함양
▷ 한국기후변화대응전략연구소에서 주관하는 민간자격증인 "탄소배출권 거래중개사"시험 응시 자격 부여
▷ 교육 이수자에 대한 연 2회 보수교육 실시

프로그램 내용
구분
교육과목
강의 주요 내용
1주차

수강생소개 및 기후변화 일반

수강생 및 Online 수강방법 소개

프로그램 소개 및 국내 녹색관련 자격증 추진동향/전망 (2h)

기후변화 일반기후변화 협약 및 교토메커니즘 (2h)
2주차
탄소 시장 일반에너지 및 탄소시장의 전반적인 이해

배출권거래제도 이론적/법적/제도적 이해

3주차
CDM/외부사업CDM 이론/실무 (1h)
외부사업 이롬/실무(1h)

온실가스 배출량 심사

M&R 가이드라인 설정/추가성 입증, 온실가스 배출량 심사원칙/절차(2h)

4주차

국내 온실가스 감축 정책 및 기술

국가 온실가스 감축 정책 & 국내 배출권거래제 개요 (2h)

국내외 온실가스 감축기술 (2h)
5주차

배출권거래제 운영 현황 및 사례

배출권거래제 설계/할당방법(1h)

옵셋 제도(1h)

해외 배출권거래제 운영사례 분석(2h)

∘ 유럽, 미국, 일본 사례 분석

6주차

배출권비용 및 가격

배출권의 한계저감 비용 산정 (1h)

배출권거래 의사결정 process (1h)

배출권 가격 형성, 동향 및 전망 (2h)

배출권의 경제적측면을 중심으로

7주차

배출권거래 현황 및 실무

배출권 등록소 및 거래 운영 시스템 파악 (2h)

배출권 거래 실무 및 ERPA 작성 (2h)
8주차

탄소금융시장의 이해/국제동향과 발전방향

탄소 금융의 개념과 사업기회

탄소금융의 국제동향과 시사점

탄소금융의 국내 현황과 문제점

향후 탄소금융의 발전방향

9주차

탄소금융 및 탄소 배출권 투자 전략

탄소 금융 상품 소개(2h) 

∘ 국내·외 탄소펀드 사례 분석 등

탄소배출권 사업투자전략(1h)

탄소배출권 투자 포트폴리오구성(1h)

10주차

고급평가 및 정보교류 네트워킹

시험대비 특강(3h)

정보교류 및 교육생간 네트워킹(1h)



    교육 사진
    회차별 합격률


탄소배출권거래중개사 합격자 정보

제 1 회(2011년 6월 25일) ~ 제 19 회(2015년 8월 22일)까지 탄소배출권거래중개사 자격취득자 명단은 자격즞취득자명단을 클릭하시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.